본문 바로가기
말씀과 나

예배시 '머리 수건'을 써야만 하는가? 고전 11:2-16 (안상홍장길자교 - '하나님의 교회'의 머리 수건 거짓 해석 바로 잡기) (3/6)

by 더좋은소망 2023. 5. 28.

 5절에서의 ‘예언’은 앞서 말씀드린대로 한 개인의 시시콜콜한 개인사에 대한 미래 그러한 예언이 아니라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낭독된 말씀’이나 오늘날의 ‘설교’인데 바울은 고린도 교회 내에 ‘무질서한 예언’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5절 말씀만 보면 바울이 지적하고 있는 여자가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하고 ‘예언’하는 것만을 말하고 있지만 고린도전서 14장을 보면 이 부분이 더 확장되어서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4장 29절에 “예언하는 자는 둘이나 셋이나 말하고 다른 이들은 분별할 것이요”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예언’은 그들이 모였을 때 있었던 ‘예언’입니다. 그들이 모여서 무엇을 했었냐면 오늘날 ‘예배’라고 일컬어지는 그런 시간을 가졌다는 것입니다. 그 예배는 초기 기독교의 ‘원시 예배’라고 할 수 있을텐데요. 이는 타종교에서 종교 의식이나 제사와도 구분됩니다. 고린도전서 14장 26절에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까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모였을 때는데 그들이 무엇을 했다는 것이냐면 ‘찬송’, 말씀을 가르치는 것, ‘계시’, ‘방언’, ‘통역’도 있었다는 것은 외부인과 타종교인들이 봤을 때 이상한 모임을 진행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본문에서는 그 ‘예배’가 ‘머리’ 본문에서는 ‘Head’(헤드)와 ‘머리털(Hair)’과 관련되어 있고 그 머리 중에서도 머리털을 가리는 것과 가리지 않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본문은 단순히 ‘머리’와 ‘머리털’과 ‘성’ 그러니까 ‘성별’과 관련된 문제까지 바울이 ‘남성’ ‘남자’가 무엇이며 ‘여자’, ‘여성’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어서 읽기
예배시 '머리 수건'을 써야만 하는가? 고전 11:2-16 (안상홍장길자교 - '하나님의 교회'의 머리 수건 거짓 해석 바로 잡기) (4/6)
예배시 '머리 수건'을 써야만 하는가? 고전 11:2-16 (안상홍장길자교 - '하나님의 교회'의 머리 수건 거짓 해석 바로 잡기) (5/6)
예배시 '머리 수건'을 써야만 하는가? 고전 11:2-16 (안상홍장길자교 - '하나님의 교회'의 머리 수건 거짓 해석 바로 잡기) (6/6)

'클릭' '터치' 하시면 '홈페이지'를 엽니다
'클릭' '터치' 하시면 '유튜브'를 엽니다
'클릭' '터치' 하시면 유튜브를 엽니다

댓글